2009년 1월 15일 목요일

커피와 환각증세? 과학기사, 이정도는 써야된다.


오늘 또 재미있는 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영국 더럼 대학 연구진의 조사 결과 인스턴트 커피를 하루 7잔 이상 마시는 사람은 하루 한 잔만 마시는 사람보다 환영이나 환청에 시달릴 가능성이 3배나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기사입니다. 뭐 카페인이 약한 각성작용을 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섭취를 한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기사 소스가 BBC더군요. 그렇다면 BBC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아니면 연구 프로젝트를 소개한 것인지, 아니면 논문을 소개한 것인지 모호해 집니다. 혹자는 정말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실 이건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연구 내용에 대한 credibility를 놓고 보자면  "논문>>>>>>(넘사벽)>>>>> 연구발표 > 방송프로그램" 이니까요. 물론 논문이라고 다 맞다고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적어도 논문의 형태로 발표가 된다면 신중하게 들여다 볼 필요는 있는 것이죠. 

그래서 원래 기사를 찾아보았습니다. "'Visions link' to coffee intake"라는 기사가 BBC 웹사이트에서 검색되더군요. 이번 연구에 대한 내용은 뭐 대동소이합니다만 한가지 눈에 띄는 것은 세번째 문단에서 "However, academics say the findings do not prove a "causal link" (하지만 학자들은 이 발견이 인과관계를 증명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라고 이 연구 내용이 인과관계를 증명한 것이 아니라는 설명을 붙인 것입니다. 그 이야기는 "커피 많이 마시면 환각증세 위험!"이라는 제목을 붙여서는 안된다는 것이지요. BBC의 기사에서 처럼 link (연관관계) 일 뿐입니다. 

그리고 BBC의 기사에는 커피 관련 업계나 학계의 반응이 잘 나와 있습니다. "Dr Euan Paul, of the British Coffee Association, stressed the study only focused on people with a very high caffeine intake. (영국 커피협회의 유안 폴 박사는 이번 연구가 오로지 카페인을 지나치게 과다 섭취하는 사람에게만 촛점을 둔 것스트레스를 받았다 을 강조했다)

또한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Recent research has linked high caffeine intake among pregnant women to miscarriage or low birth weight. Other studies suggested it could help prevent skin cancer, reduce nerve damage associated with multiple sclerosis, or cause problems for diabetes sufferers. (최근의 연구는 임산부들의 고카페인 섭취와 유산 또는 저체중아 출산이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다른 연구들은 카페인이 피부암을 예방하고 다양한 동맥경화증 위험을 감소시키기도 하며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한다)" 이렇듯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주변 이야기도 잘 해주는 것이 좋지 않나요? 

그런데 BBC에도 이 연구가 논문으로 나온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그것 하나가 좀 아쉽더군요. 그래서 다른 기사를 찾아봤더니 The Herald에 Think you’ve seen a ghost? Coffee may be to blame 이라는 기사가 있더군요. 그 기사 말미에서 이 연구의 출처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The study, funded by the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is published in the journa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아예 펀딩받은 단체의 이름까지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또 저널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홈페이지를 찾아가 보았더니 조만간 나올 논문 (articles in print)에 이 기사의 연구가 수록된 논문이 있었습니다. 제목은 "Caffeine, stress, and proneness to psychosis-like experiences: A preliminary investigation"입니다. 

역시 The Herald의 기사에도 이 연구의 의의에 대한 과장된 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However, co-author Dr Charles Fernyhough pointed out that the study only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caffeine intake and hallucinations, not a causal link." (그러나 공동저자인 찰스 퍼나이휴 박사는 이 연구는 단지 카페인 섭취와 환각증세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이지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공동저자인 사람이 이렇게 이야기하다니 새롭습니다. 

아무튼 이 내용을 보면서 과학기사에서 적어도 몇가지 꼭 있으면 좋을 요소들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면

1) 기사의 원소스, 특히 논문/연구발표 등의 여부
2) 연구 내용에 대한 주변 이야기
3) 연구의 의의나 평가
4) 반론이나 지금까지의 반대되는 주장들

이런 것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과학 기사야말로 (미네르바 수준의) 허위사실 유포가 가장 많은 곳 아니겠습니까? 물론 저는 과학기자님들의 글이나 미네르바의 글이 허위사실유포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말입니다.   


댓글 9개:

  1. 비밀 댓글 입니다.

    답글삭제
  2. @Anonymous - 2009/01/15 20:18
    좋은 말씀과 지적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3. 그러게 말입니다. 해외 과학 의학 기사들을 보다보면, 우리는 왜 이정도로 깔금한 기사가 안나올까 아쉬울 때가 많습니다.



    2월 7일 닥블 오프라인 모임을 할 예정입니다. 연구와 교육에 바쁘신데다가 서울에서 하다보니 말씀드리기가 죄송스럽습니다만, 혹시 시간이 되시면,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http://healthlog.kr/794



    만약 이번에 기회가 닿지 않는다면 부산에서 한번 뵙고 싶습니다.

    답글삭제
  4. @양깡 - 2009/01/15 20:23
    제가 숫기가 없어서 잘 모르는 모임에는 잘 안가는 편입니다. 그런데 이번 모임은 서울이라서 핑계대기가 더 좋네요.^^



    양산에 계신 것으로 아는데 부산에서 기회를 한 번 잡아보도록 하지요.

    답글삭제
  5. 과학기사에 대한 외국언론에 실린 글을 보면....참 멋지게 글을 쓰더군요.

    못하는 영어를 해석하면서 글을 읽다 보면....저같은 사람도 감탄할때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영 아니올시다...이죠.



    말씀하신 그런 요소들이 정착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기사를 읽었으면 합니다.

    답글삭제
  6. trackback from: [커피단상] 원두커피에 환각 작용이?
    커피의 카페인이 건강에 좋다 또는 나쁘다란 뉴스는 심심할때마다 한번씩 출몰하는 아이템이다. 아마도 내보낼 기사가 없을 경우를 대비해서 준비해둔 카테고리 중 하나가 아닐까 싶을 정도다. 이번에도 역시 터졌다. 그것도 영국발 외신을 인용해서 말이다.::기사 참조 클릭::커피 많이 마시면 환각증세 위험<英 연구진>아마도 저 뉴스는 어제와 오늘에 이어서 아무런 의심이나 검증없이 전 매체를 타고 퍼졌을 것이다. 커피 애호가의 입장에서 저 기사가...

    답글삭제
  7. 연구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뉴스를 보도하는 측에서 사람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사람들이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을 오히려 부각시켜서 제목으로 바꾸어 버리는 일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논란이 많은 부분일 수록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8. @추생화 - 2009/01/16 17:06
    그렇습니다.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언론도 있고 연구 내용을 과장하는 연구자도 있지요.

    답글삭제
  9. trackback from: 인스턴트 커피의 환각작용에 대한 두 가지 의견에 보태어
    커피와 환각증세? 과학기사 이 정도는 써야 된다. 바이오매니아님의 글입니다. 원두커피에 환각작용이? 전광수님의 글입니다. 두 글에서 모두 최근 문제가 된 커피의 환각작용에 대한 신문 기사를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사실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고, 근거가 박약하다는 내용입니다. 한국 기자들이 받아 쓴, BBC의 기사를 근거로 기자들의 무식함을 질책하신 바이오매니아님의 분석이 돋보였습니다. 바이오매니아님이 링크해 놓은대로 BBC 기사를 찾아봤습니다. 역시..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