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이 100만원 이상의 금품이나 향응을 먼저 요구할 경우 최고 파면까지 중징계를 받게 된다. 또 집단행동을 위해 근무지를 이탈한 공무원은 다른 사유로 인한 직장 이탈에 비해 무거운 징계를 받는 등 공무원의 비위 유형별 처벌 기준이 세분화된다. (중략) 행안부는 현재 성실·복종의무 위반, 비밀엄수의무 위반, 청렴의무 위반 등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공무원 비위 유형을 공금 횡령이나 유용, 지시사항 불이행, 집단행동을 위한 직장 이탈 등으로 세분해 징계 기준을 정하기로 했다.
바이오매니아의 Biotechnology.tistory.com의 mirror blog입니다. biotechnology.tistory.com으로 오세요.
2009년 1월 28일 수요일
뇌물 100만원 받은 공무원 ‘파면’ 가능?
뇌물 100만원 받은 공무원 ‘파면’ 가능
위 기사를 보면 두가지 의문이 드는데 한가지는 100만원이라는 기준이 대체 뭐냐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공무원의 청렴도를 높이기 위한 법을 제정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공무원을 휘어잡기 위한 방편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당연히 공무원은 상부의 지시사항을 잘 이행해야 하고 집단행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이를 갑자기 가중처벌을 하겠다는 것은, 특히 뇌물이나 금품과 같은 비위와 함께 다루는 것은 조금 어색하다. 사실 진짜 어색한 것은 뇌물이나 금품수수는 별로 없어질 것 같지 않은데 기사의 제목으로 크게 다루어진데 비해 실제로 처벌은 다른 "비위(?)"로 이루어질 것 같다는 것이다.
라벨:
공무원 비위사건 처리규정,
뇌물 100만원,
시사 Commentary,
파면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