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2월 13일 금요일

"KISTI의 과학향기"마저 이러면 안되는데...

라면이 먼저냐, 스프가 먼저냐
설탕보다 물엿이 건강에 좋은 이유는? 당분이 전혀 없는 음식이란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얼핏 단맛을 느낄 수 없는 음식에도 조리 과정에서 약간의 설탕 정도는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당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에너지원이다.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은 포도당으로 분해돼 혈액으로 흡수되고 에너지로 쓰인다. 하지만 당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문제가 된다.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의 경우 여러 가지 식품 첨가물이 들어가는데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설탕이다. 

설탕은 사탕수수, 사탕무 등의 식물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한동안 천연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설탕은 그 정제 과정에서 단백질, 미네랄 등 대부분의 성분을 빼내고 단맛만을 부각시키기 때문에 인공감미료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설탕의 남용은 당분을 과잉공급하는 원인이 되고 이것이 누적되면 당뇨와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황설탕이나 흑설탕 등이 더 낫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결국 정제설탕이라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다. 

물엿의 주재료는 옥수수이다. 옥수수 내에 있는 전분을 정제하여 추출하고 이것을 효소 가수 분해해 물엿을 제조한다. 물엿이 혈당을 높이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고 나서 물엿의 용도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2004년 미국에서는 물엿이 비만을 유발하고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결국 지나친 당분의 섭취를 스스로 자제하는 것이 진정으로 건강을 생각하는 방법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짧은 상식 하나. ‘사과는 먹는 시간에 따라 아침에는 금, 점심에는 은, 저녁에는 동’이라는데, 그 이유는 뭘까?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오후보다는 오전에 활발하므로 저녁에 과일의 당분을 섭취할 경우 쉽게 중성지방으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과는 섬유소가 많아서 저녁에 먹으면 장이 소화하는 데 부담을 줄 수 있어 소화하는 시간이 비교적 많은 아침에 먹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사과의 산도는 위액의 산보다 훨씬 낮으므로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위가 나쁜 사람이 먹어도 좋다.
심각합니다. 심각해. 지금은 너무 바빠서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간단히만 적어보면...

1) 물엿이 설탕보다 좋은 이유는?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물엿이 덜 달아서 더 많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당분 섭취가 더 많을 수 있고, 설탕은 과당이 한 분자 있어서 혈당을 덜 높이는데 비해 물엿은 분해되면 모두 포도당이라서 혈당을 더 높일 수 있고, 등등...설탕이든 물엿이든 과하게 먹지 않으면 됩니다.

2) 설탕은 인공감미료? 넌센스입니다! 
그러면 소금도 인공조미료. 후추도 인공향신료. 물엿도 당연히 인공감미료. 

3) 물엿이 혈당을 높이지 않는다??? 넌센스!!!! 
(위에서 썼습니다.) GI(Glycemic index)는 아마 물엿이 더 높을 것입니다. 물론 물엿도 종류가 다양합니다만 아무튼 분해되면 모두 포도당이죠. 그래도 설탕은 흡수가 잘 안되는 과당이 한 분자 있어서 동량을 먹었을 때 혈당을 높이는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을 겁니다.

4) 저녁에 먹으면 동사과? (거의) 넌센스!!! 
사과의 당분이 중성지방이 된다면 저녁밥은 모두 중성지방으로 갑니다. 사과의 섬유소가 문제라면 저녁에 먹는 채소는 다 문제입니다. 모든 과일은 아침에 먹는 것이 좋다고 해야 합니다. 고로 너무 늦은 밤에만 먹지 않으면 큰 문제 없습니다.
(이것은 방송 때문에 자세하게 쓰고 있는 중입니다.)





댓글 10개:

  1. 저 글에서는 물엿을 "액상과당" 과 같은 의미로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혈당이란 것은 포도당이고 옥수수전분을 분해해서 만든 과당은 포도당이 아니므로 혈당을 높이지 않는다고들 했었지요. 과당은 포도당보다 훨씬 단 것도 맞습니다. 근데 한국에서 말하는 물엿과 액상과당은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답글삭제
  2. trackback from: 물엿 vs High-fructose corn syrup
    조청, 엿, 물엿. 에 붙은 트랙백 KISTI 의 과학향기마저 이러면 안되는데 가 흥미롭다. 그 글에서는 과학향기에 나온 내용에 대해 반대의견을 제시하고 있는데 둘 다 맞는 이야기다. 쫌 이상하게 여겨지겠지만 둘 다 맞는 게 맞다.



    과학향기:

    물엿의 주재료는 옥수수이다. 옥수수 내에 있는 전분을 정제하여 추출하고 이것을 효소 가수 분해해 물엿을 제조한다. 물엿이 혈당을 높이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고 나서 물엿의 용도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답글삭제
  3. @기불이 - 2009/02/14 02:11
    그럴 수도 있겠군요. 물엿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HFCS의 자료를 보고 썼을 수도 있겠습니다.

    답글삭제
  4. trackback from: 물엿과 고과당옥수수시럽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은 다릅니다.
    어제 포스팅 ("KISTI의 과학향기"마저 이러면 안되는데...)에 대해 모기불님께서 "물엿과 High-fructose corn syrup 를 같은 개념으로 쓰고 있는 것 같다."는 선의의 해석을 하셨는데, 그렇다면 말이 조금 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식품공업에서는 물엿 (corn syrup)과 HFCS는 다른 것으로 취급합니다. 잘 모르는 분들이 영어로 보면 둘 다 corn syrup 이 있어서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말입니다. 간..

    답글삭제
  5. trackback from: 과일은 왜 단 맛이 날까?
    일하고, 블로그에 포스팅 올리고 집에 와서 아기와 놀아 주다가 잠시 시간이 나면 웹서핑에 여념이 없는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웃 블로그를 방문하다보면 포스팅할 꺼리를 줍게 됩니다... -.-; 사실 얼마 전부터 과당 섭취에 관한 내용을 읽고 난 후에 한번쯤 포스팅하려고 했는데, 늘 미루다가 까먹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웃 블로그에서 그에 관한 내용을 보고서 분발해서 포스팅합니다. 오늘도 일용할 포스팅 주제를 흘려주신 바이오매니아님과 모기불통신님께..

    답글삭제
  6. 액상과당으로 적은 양 쓰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면 또 이야기가 틀리죠. 근데, 저렇게 뭐가 나쁘고 뭐가 좋다는 종류의 이야기는 민감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글을 써주어야 하고, 옥수수 어쩌구 한걸로 보아 맥아당이 주성분인 물엿일 것으로 추정되네요.



    덜 달다고 많이 넣으면 훨씬 더 안좋다는 것을 간과한 잘못된 ... ^^

    답글삭제
  7. @하이컨셉 - 2009/02/14 16:51
    그렇죠. 사실 뭐가 좋고 나쁜지는 언제나 명확한 조건을 설정하고 해야하는데 말입니다.

    답글삭제
  8. 마침 어제 '요리당'이 똑 떨어졌어요.설탕이 나쁘다는 소리만 어디서 주워듣고는 아예 집에 백설탕이니 흑설탕을 들이지 않은 대신, 음식 만들 때 여튼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서 사다놓은 요리당이었는데 벌써 다 먹어치운 것이죠. 재활용 수거함에 요리당 플라스틱 용기를 2점 슛 거리에서 던져넣으면서 내심 그래도 나는 설탕이 아니라 물엿을 먹은 거니까 괜찮아 생각했다지요. 딱 3초 정도 지나니까 아닐지도 모른다 싶어져서 교수님이라면 뭐라고 하시려나 생각했는데 블로깅 타이밍도 놀라우십니다. 과연 그렇군요. 음음 쇼핑 리스트에 요리당이라고 적어두었는데 그냥 줄 북북 그어버리고 설탕을 사와야할까나요. 뭘 사오든 이제까지 요리당이 저에게 발휘했던 당분 과다 섭취 혐의에 대한 죄책감 상쇄작용은 안녕이로군요.

    답글삭제
  9. @Avila - 2009/02/15 16:16
    요리당이 뭔가 했는데 원당에 프락토 올리고당(과당으로 만들어진 올리고당)을 20% 섞은 것이네요(백설표). 원당은 설탕이 주성분이니까 뭐 설탕에다 과당성분의 올리고당을 조금 섞은 것이 되겠습니다. 요리당은 물엿하고 다르기 때문에 설탕보다는 (약간) 나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것이 더 좋은 맛을 내는가에 따라 고르시는 것도 좋을 듯한데요.

    답글삭제
  10. trackback from: 설탕의 패러독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짤방은 무려 2600 칼로리라는 엄청난 열량을 자랑하는 미국 최악의 음식, 베스킨 라빈스 초콜릿 오레오 쉐이크 (Baskin Robbins Large Chocolate Oreo Shake) 얼마전 과학카페에 올라왔던 "설탕과 물엿"의 비교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으로 바이오매니아님과 마바리님의 릴레이 포스팅에 이어 코메디의 "과당이 몸에 안좋다"는 포스팅까지 설탕과 물엿, 그리고 여러 당분에 대한 건강논란이 건강관련 블로고스피어를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