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B형 혈액 O형으로 전환가능" (한국일보)
혈액형 상관없이 수혈 가능해진다 (조선일보)
이 기사들의 원문이 되는 뉴 사이언티스트에 나온 기사도 참고하시고 아예 원문을 보시려면 몇일 기다리셔야 겠습니다. 아직은 4월호가 정식으로 나오진 않았네요. 하지만 학교에 계신 분들인 미리 보실 수 있으실텐데, 학교 도서관이 subscription을 했으면 아래 원문을 눌러서 보시길....
Bacterial glycosidases for the production of universal red blood cells
Published online: 01 April 2007 | doi:10.1038/nbt1298
Abstract | Full text | PDF (537K) | Supplementary Information
원리는 지난 번에 말씀드린 대로 간단합니다. ABO형 혈액형의 차이라고 하는 것이 적혈구 표면의 당쇄(당들의 연결 구조)의 아주 미묘한 차이밖에 없거든요.

(그림은 위 논문의 Fig. 1)
보시다시피 B형은 갈락토스, A형은 N-acetyl-D-갈락토스의 차이입니다. O형은 둘다 없는 것이구요. 그러니까 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glycosidase를 이용해서 말단의 당을 하나 잘라내면 O형 혈액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문제는 이 효소가 얼마나 당을 잘 잘라내는지의 효율성이 되겠군요. 뉴 사이언티스트의 기사에 따르면,
The researchers homed in on two enzymes. One, from a gut bacterium called Bacteroides fragilis, removes the B antigen. The other, from Elizabethkingia meningosepticum – which causes opportunistic infections in people – targets the A antigen. The purified enzymes are highly efficient. For example, the B. fragilis enzyme is used up at only one-thousandth the rate of the coffee bean enzyme.
라고 되어있는데 1980년대에 보고된 커피콩의 효소보다 1000배의 효율이 좋다고하니 정말 실용화가 가능할지도 모르겠군요. B형을 O형으로 만드는 것이 더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사회의 공적(?) B형 남성들에게 희소식일지 모르겠지만 혈액형 성격이라는 것이 단지 적혈구의 당쇄 하나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 생긴다고는 믿지 않기 때문에, 의학적 효용만 관심이 가는군요.
*PS.
혈액형 성격에 대해서는 제가 트랙백한 프쉬케님의 포스트를 읽어보심이 어떨지, 아니면 SBS 스페셜에서 방송된 "혈액형의 진실"(방송보기)이라는 프로그램을 보시든지요.
혈액형을 바꾼다는것이 사람의 혈액형을 바꾸는게 아니라 채혈한 혈액의 혈액형을 바꾼다는거 아닌가요?
답글삭제맞습니다. 너무 낚시성 제목이었나요?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답글삭제